Review/책Books 105

질감과 질료

의도적으로 정보를 숨기는 드라마의 기법은 이제 인물 간의 대화까지 영역을 넓혔다. 드라마가 기술적인 문제를 다루게 되면 대화는 2가지 정보전달 방식을 오간다. 하나는 질감(texture)이고 다른 하나는 질료(substance)다. 질감은 실제 집도 중인 의사를 본다고 느끼게 하기 위한 온갖 수사들이고 질료는 배경 질감 속에서 시청자들이 드라마 속 상황을 이해하도록 돕는 장치다. 질감의 역할은 직접적인 이야기 전개와 무관할 때도 있다. 이때 이야기와 상관이 없으면 없을수록 더 좋다는 점은 매우 아이러니하다. 60년대 롤랑 바르트는 "사실효과"를 다룬 단편수필에서 플로베르의 단편 에 등장하는 청우계를 인용한다. 바르트의 설명에 따르면 의미 없는 것을 통해 사실감을 표현하는 것이 사실효과다. 청우계는 이야기..

Review/책Books 2016.08.01

호모 에렉투스에 관한 몇 가지 사실들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불을 사용한 최초의 사람종이었다. 사냥을 생존의 중요 수단으로 삼은 최초의 사람종이며, 현생 인류처럼 달릴 수 있는 최초의 사람종이었다. 머릿속에 가지고 있던 일정한 틀에 따라 석기를 만든 최초의 사람종이며, 아프리카 너머까지 생활 무대를 넓힌 최초의 사람종이었다. 우리는 호모 에렉투스가 어느 정도의 구어를 사용했는지 확실하게 알지 못하지만, 몇몇 분야의 증거는 구어가 있었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이 종이 어느 정도로 사람과 같은 자의식을 가졌는지는 밝혀지지 않았고, 앞으로도 영원히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분명 그들이 의식을 가졌으리라고 생각한다. 구태여 말할 필요도 없지만, 호모 사피엔스의 가장 큰 특징인 언어와 의식은 선사 시대의 기록에 아무런 흔적도 남겨 ..

Review/책Books 2016.07.23

도스토예프스키 이야기, <바덴바덴에서의 여름>

수전 손택의 서문 20세기 후반의 문학은 설명이 많이 된 영역이어서, 집중적으로 탐구된 주요 언어권에 아직도 발견되길 기다리고 있는 걸작들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십여 년 전에 나는 우연히 이라는 책을 발견했다. 나는 그 책을 지난 한 세기의 소설과 범소설(para-fiction)들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뛰어나며 창조적인 성취를 이룬 작품에 포함시키고 싶다. 레오니드 치프킨, 중 '수전 손택의 서문', 이장욱 옮김, 민음사 어느 미술관? 도스토예프스키 부부는 드레스덴에 도착한 후 스위스 여자인 치머만 부인네 방을 빌린다. 도착 첫날 그들은 중앙 광장의 한 호텔에 여장을 풀고는 곧바로 화랑으로 향한다. 이어지는 글 모스크바에 있는 푸슈킨 박물관 앞에는 사람들이 기나긴 줄을 이루고 서 있었지만, 한..

Review/책Books 2016.07.18

움베르토 에코가 가장 사랑하는 작품, 실비

모든 시대의 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보석 중의 하나인 네르발의 는 노래 부르기 쉬운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너무나도 복잡하게 조화를 이룬 구조로 되어 있어서 단지 다시 읽어 볼 수 있을 뿐, 계명 창법으로 기억할 수는 없다. 비발디는 노래 부르기 쉽지만 드뷔시는 그렇지 않다. 움베르토 에코, , 열린책들 이에 달린 옮긴이(김운찬)의 주석- 네르발(1808~1855)의 소설 (1853)는 에코가 가장 사랑하는 작품으로 이 작품에 대해서는 오랜 세월에 걸쳐 많은 글을 썼다. 이 작품에 대한 에코의 최종적인 종합으로는 (열린책들, 2009)에 실린 참조. 움베르토 에코가 가장 사랑하는 작품이라는데 읽지 않을 수 없다. 찾아봤다. 번역본이 있다. 1997년 문학과지성사에서 '최애리'씨 번역으로 가 나왔는데 절..

Review/책Books 2016.07.08

내 문장은 그렇게 이상하다

그렇다. 나는 김정선 씨가 쓴 를 읽었다.나도 묻고 싶다.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지. 발신인은 '내 문장을 그렇게까지 고쳐야 했습니까?' 하고 따지지 않고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라고 물었다.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했나요'가 아니라 '이상한가요'라고 현재형으로 물은 것도 특이했다. 적의를 보이는 것들 교정 전 교정 후 사회적 현상, 경제적 문제, 정치적 세력, 국제적 관계, 혁명적 사상, 자유주의적 경향 사회 현상, 경제 문제, 정치 세력, 국제 관계, 혁명 사상, 자유주의 경향 문제의 해결 문제 해결 음악 취향의 형성 시기 음악 취향이 형성되는 시기 문제 해결은 그다음의 일이다 문제 해결은 그다음 일이다 부모와의 화해가 우선이다 부모와 화해하는 일이 우선이다 사과나무들에 사과들이 주렁주렁 ..

Review/책Books 2016.06.28

'우연종'은 누구에게나 있다

영상의학 검사를 하다 예상치 못한 질병을 발견하는 일이 있다. 이를 우연종incidentaloma이라 한다. 이 경우 보통 검사를 더 받고, 대부분 별 문제 아닌 것으로 나온다. 어쩌면 병이 있다는 걸 모르는 편이 더 나았을 지 모른다. [스켑틱 VOL.6] ● 우연종 그 자체가 해롭지 않더라도 그에 대한 진단 과정은 해로울 수 있다. ● 현대 영상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런 일은 더 빈번해졌다. 발견되는 우연종이 심각한 질병인 경우는 1퍼센트 이하다. 그 외 나머지 경우들은 환자에게 불필요하고 떄로는 위험하기까지 하다. ● 러블은 누구나 영상사진을 찍어보면 비정상적인 소견이 두세 개씩은 있다고 말한다. "나는 정상인 사람을 한 명도 보지 못했습니다." 만약 모두가 비정상 소견을 갖고 있다면 우연종은 '정상'..

Review/책Books 2016.06.12

[작가] 정유정

2014.1206.을 먼저 읽었다. 놀라운 작품이었다. 작가에게 놀랐다.그 다음엔 을 읽었다. (정유정, 대단하다!)세번째 작품은 이었다. 2013년 여름을 뜨겁게 달구었던 책이었다. 1년 반이 지난 겨울에 읽기 시작해 여름에 읽기를 마쳤다. (책 읽기가 느리다) 배낭에서 휴대전화를 꺼냈다. 해외로밍을 해두지 않아 그간 한 번도 켜보지 않았던 물건이었다. 바깥세상은 바깥에 놔두고 싶었다. 단 한 달만이라도 히말라야가 삶의 전부이기를 바랐다. 실은 해외로밍을 신청하는 법도 몰랐다. 낮잠을 대신할 소일거리가 필요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한국에 돌아가서야 꺼내봤을 것이다. 나는 3000미터 고지에 올라선 기념으로 사진을 찍어두기로 했다. 서부영화에 나오는 마을처럼 황량한 모래바람이 부는 거리와 마을 외곽에 듬성..

Review/책Books 2016.06.03

김광석과 사람들 - 기형도, 김창완

기형도와 김광석 기형도 산문집을 읽다. 짧은 여행의 기록. 느낌이 많다. '짜쉭' 스물아홉에 신춘문예 당선이라니. 그럴 만도 했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관심사에 목매다는 것이니까. 다른 이들보다 좀 나은 것은 그는 그렇게 자신의 삶으로 시를 완성했다는 사실이다. 스물아홉 살, 어느 삼류 극장에 앉아 조용히 숨을 거둔, 그 짧은 여행의 마지막 눈빛은 어떠했을까. 김광석, , 예담 기형도를 좋아하고,김광석을 좋아한다. 기형도의 시와 산문을 읽고김광석의 노래를 듣는다. 김광석과 김창완, 그리고 동물원 1987년 여름, 어떤 사람이 별생각 없이 녹음한 그 노래들을 듣고 '진짜' 음반을 내자고 했습니다. 어떤 정신 나간 사람인가 했는데 그 사람은 진지했습니다. 그가 바로 '산울림'의 김창완이었습니다. 근데 지금..

Review/책Books 2016.06.02

[밑줄긋기] 현기증. 감정들 - 제발트

W.G.제발트 별 생각없이 이 작가의 책을 집어 들었다. '배수아'의 번역이라 고른 것 같다. 처음에 실린 단편, 을 읽었다. 이것은 소설인가? 스탕달에 대한 이야기였다. 짧은 이야기 안에서도 시간을 여러 차례 뒤섞어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데, 다 읽고 나면 재밌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독특하고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벨은 몇 년 전 오래된 서류들을 뒤지다가 우연히 이브레아 풍경이라는 제목이 붙은 동판화와 마주치게 되었을 때 엄청난 실망감을 맛보았다고 썼다. 자신의 기억 속에 각인된, 저물어가는 저녁빛 속에 고즈넉이 잠긴 도시 이브레아의 풍경이 다름아닌 그 그림 속 도시 풍경과 판박이처럼 똑같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벨은 여행지에서 본 아름다운 풍경들을 모사한 그림들을 사지 말라고 충고한다. 그런 그림들은 우..

Review/책Books 2016.05.29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니코스 카잔차키스 톨스토이는 귀족 출신이었고 부유했으며, 놀랄 만큼 건강한 체질로 떡갈나무처럼 러시아 대지에 뿌리박고 있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프티 부르주아였다. 그는 평생 가난과 배고픔, 그리고 병마에 시달렸다. 그의 신경 체계는 영혼이 숨을 쉴 때마다 상처를 입었고, 그 영혼은 신경병에 걸린 대도시의 프롤레타리아 같았다. 톨스토이의 눈은 기가 막힐 정도로 명쾌하게 바깥 세계를 본다. 그는 놀라운 애정과 예민함으로 육체를 향유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육체를 혐오했다. 그에게 육체는 어둡고 악마적인 장애물이었다. 그는 단 한 번의 도약으로 인간 영혼의 심연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톨스토이의 내면은 차분한 논리가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는 자기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아는 현실주의자였다. 그는 윤리..

Review/책Books 2016.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