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책Books

보르헤스의 픽션들

_물곰 2022. 1. 4. 22:35
반응형
 
보르헤스의 단편소설들

보르헤스는 단 한편의 장편소설도 쓰지 않았다. 장편소설은 너무 힘이 많이 들어가며 시간 낭비라고 했다. 그는 요약적 글쓰기의 방법을 택해 소설의 간략한 줄거리를 보여주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의 단편소설의 모티브를 이용해 장편소설이 쓰여지기도 하고 영화나 애니메이션으로 인용되고 확장되었다.
그의 소설이 워낙 간략하다 보니 그 줄거리를 다시 요약하는 것은 쉽지 않다.
진중권씨는 미학오디세이 3권에서 보르헤스의 작품 <원형의 폐허들>을 소개하고 있다.

보르헤스의 소설에는 원형의 폐허에서 꿈으로 아이를 빚은 어느 도인의 얘기가 나온다. 그는 수많은 꿈을 다듬고 사내아이의 형상을 빚고, 불의 신의 도움으로 꿈속의 아이를 현실세계로 끌어낸다. 그 아이가 환영에 불과하는 것을 아는 것은 불(火)인 신과 꿈으로 그 아이를 빚은 사내뿐이었다.

이렇게 탄생한 아이에게 가르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르친 후, 사내는 폐허가 된 또 하나의 사원으로 그 아이를 보낸다. 몇 년이 흘렀을까? 어느 날 뱃사공 둘이 사내를 깨워, 저 아래에 있는 사원에 불속을 걸어가도 타지 않는 도인이 있다는 얘기를 들려준다. 사내는 자기의 아이가 이 신비한 능력에 정체를 의심하다 결국 자기가 환영임을 깨닫게 되지 않을까 두려움에 빠진다.
근심과 초조로 지새던 불면의 밤은 그리 길지 않았다. 어느 날 그가 기거하던 불의 신의 사원이 화염에 휩싸였던 것이다. 강물에 뛰어들까 생각하다가, 그는 저 불이 자신을 힘든 삶의 노고로부터 해방시켜주기 위해 다가오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 마침내 불길이 덮쳐와 화염에 쉽싸였을 때, 사내는 활활 타오르는 불길 속에서 문득 자신의 몸이 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다.

[미학오디세이 3 p323, 진중권, 휴머니스트]


우리가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졌을 거라는 생각은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다. 그리스 신화, 북유럽 신화, 아메리카 신화, 단군왕검 등의 각 민족마다 "시작"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교적인 신, 절대자의 가치를 부여받기도 하고 때로는 장자의 꿈과 같이 의심되기도 한다.
영화 토탈리콜에서의 가상 현실이라든가 스즈키 코지의 <링-루프>에서 현실이라고 믿었던 세계가 컴퓨터 속의 프로그램이었다든가 매트릭스처럼 기계 속에 떠도는 인간의 정신이 그 예이다. 베르나르베르베르의 소설 <개미>에서는 개미가 인간을 신으로 믿게 되는 과정이 그려져 혹 인간도 개미와 같은 것은 아닐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다시 진중권씨의 글을 보면,

영화 <매트릭스> 2편의 시놉시스(synopsis)는 이미 보르헤스의 단편 <원형의 폐허> 안에 들어있다. 2편 <리로디드>에서 수조 속에서 꿈꾸는 이들을 깨워야 할 네오 자신도 한갓 꿈이며, 윤회의 쳇바퀴 속에서 같은 일을 여섯 번 반복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원형의 폐허>의 주인공 역시 불 속에서 자기자신도 한갓 꿈에 불과함을 알게 된다. 불의 신의 사원은 매트릭스처럼 그 전에 이미 여러 번 타오르는 화염 속에서 폐허가 된 바 있다.
영화 <매트릭스>에는 한 인물이 서가에서 책을 한 권 꺼내든다. 영화의 철학적 배경을 슬쩍 암시하려 한 모양이다. 그 책이 바로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 )의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이다. 여기서 '시뮬라크르'란 안더스가 말한 '팬텀'에 해당하고, '시뮬라시옹'이란 그가 말한 '매트릭스'를 고쳐 쓴 것이라 할 수 있다. 한마디로 시뮬라크르는 이 세계를 이루는 재료이며, 시뮬라시옹이란 그 재료로 세계를 구성하는 활판이라고 할 수 있다.

[미학오디세이 3 p325, 진중권, 휴머니스트]

 

보르헤스의 <허구적 책에 대한 책쓰기>, <원점 회귀> 형식은 그 방법을 달리하며 확장되고 있다. 마치 그가 만들었던 <바벨의 도서관>이 "한계는 없지만 주기적" 이듯이..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 책은 1편에 네오의 방에서 나온다.

 

2008.0930. 발행

 

 

반응형